우리동네 '펫위탁소' 제도 완벽 가이드,

 

'펫위탁소' 제도 완벽 가이드

우리 아이를 안심하고 맡길 수 있는 '펫위탁소' 제도 완벽 가이드

여행이나 출장, 갑작스러운 일정으로 반려동물을 돌볼 수 없을 때 어떻게 하시나요? 서울시에서 운영하는 펫위탁소 제도를 활용하면 안심하고 우리 아이를 맡길 수 있습니다.

펫위탁소란?

펫위탁소는 서울시가 지정한 동물병원 및 반려동물 돌봄 시설로, 반려인이 부득이한 사정으로 반려동물을 일시적으로 돌볼 수 없을 때 이용할 수 있는 공식 위탁 시설입니다. 시에서 직접 지정하고 관리하기 때문에 신뢰도가 높다는 것이 가장 큰 장점이에요.

'펫위탁소' 제도 완벽 가이드

펫위탁소의 장점

 믿을 수 있는 시설
서울시 동물보호과에서 직접 지정한 시설이기 때문에 일정 수준 이상의 기준을 충족한 곳들입니다.

 전문적인 케어
동물병원이나 전문 펫케어 시설에서 운영하므로 응급상황에도 신속하게 대응할 수 있습니다.

 우리 동네에서 찾기 쉬워요
현재 서울시 내 20개 자치구에 걸쳐 다양한 펫위탁소가 운영 중이어서, 집 근처에서 편리하게 이용할 수 있습니다.

자치구별 펫위탁소 현황

서울시 전역에 50개가 넘는 펫위탁소가 지정되어 있습니다. 주요 지역별로 살펴볼까요?

 도심권

종로구에는 대학로의 강아지대학로, 월곡로의 봄동살롱이 있고, 성동구에는 한양동물메디컬센터, 이윤세동물병원 등 5개 시설이 운영 중입니다. 동대문구중랑구에도 각각 2개, 1개의 위탁소가 있어요.

 북부권

성북구에는 행복하개 키울고양, 봄동살롱이, 강북구에는 H동물병원과 꽃보다 개가 운영되고 있습니다. 서대문구는 쥬쥬펫과 연희도그 2곳이 있습니다.

 서남권

양천구는 양천종합동물병원을 비롯해 제주네 애견유치원, 캣츠아일랜드까지 3개 시설을 갖추고 있습니다. 강서구도 시온동물병원, 놀러오개, 독가짐 등 3곳이 있고, 구로구금천구에도 각각 2개씩 위탁소가 운영 중입니다.

 남부권

동작구에는 유케어종합동물병원과 굿파파24시가, 서초구에는 한동물병원과 라파엘동물병원이 있습니다. 강남구는 멍팰리스, 리츠펫 강남세곡점, 멍파 등 3곳이 운영되고 있어요.

 동부권

송파구에는 25시 펫샵과 야옹아 멍멍해봐 송파위례점이, 강동구에는 둔촌동물병원, 상일쓰담쓰담 동물병원, 깐쵸네 애견호텔 등 3개 시설이 있습니다.

관할

자치구

동물병원명

소재지

종로구

강아지대학로

종로구 대학로12길 92

봄동살롱

성북구 월곡로 59

성동구

한양동물메디컬센터

성동구 왕십리로 282

이윤세동물병원

성동구 행당로 76, 109호

왕십리 조은동물병원

성동구 왕십리로 381

고양아, 안녕?

성동구 마조로 55, 2층

동대문구

땅콩동물병원

서울시 동대문구 답십리로 224-1

아띠동물의료센터

서울시 동대문구 사가정로 51

중랑구

금란동물애견

중랑구 용마산로 532

성북구

행복하개 키울고양

성북구 고려대로 11길 24, 2층

봄동살롱

성북구 월곡로 59, 1층

강북구

H동물병원

강북구 삼양로27길 35-21, 106호

꽃보다 개

강북구 한천로 1106

서대문구

쥬쥬펫

서대문구 증가로 13-9, 2층

연희도그

서대문구 연희로 153-4, 2층

양천구

양천종합동물병원

양천구 오목로 45

제주네 애견유치원

양천구 신월로 266, 2층

캣츠아일랜드

양천구 중앙로 222, 3층

강서구

시온동물병원

강서구 까치산로74(화곡동)

놀러오개

강서구 까치산로33(화곡동)

독가짐

강서구 강서로17길 25(화곡동)

구로구

구로다나은동물병원

구로구 신도림로7, 110호

댕댕스

구로구 오리로1181 2층

금천구

더조은동물의료센터

금천구 시흥대로 172, 서우빌딩 1층

엉클독애견유치원

금천구 가산로9길 97-6, 2층

동작구

유케어종합동물병원

동작구 상도로 214, 성은빌딩 1층

굿파파24시 반려동물 건강검진센터

동작구 사당로 289(사당동)

서초구

한동물병원

서초구 동산로66 봉진빌딩1층

라파엘동물병원

서초구 강남대로 525-3 호림빌딩 1층

강남구

멍팰리스

강남구 테헤란로77길 11-9, B1층

리츠펫 강남세곡점

강남구 헌릉로570길 30, 4층

멍파

강남구 도산대로30길 29-5

송파구

25시 펫샵

송파구 삼전로80, 남관빌딩 2층(삼전동)

야옹아 멍멍해봐 송파위례점

송파구 위례서로 260, B동(거여동)

강동구

둔촌동물병원

강동구 양재대로 1385 (성내동)

상일쓰담쓰담 동물병원

강동구 구천면로 670, 2층(상일동)

깐쵸네 애견호텔

강동구 상암로61길 38 2층, 202호(명일동)

이용 전 체크포인트

펫위탁소를 이용하기 전에는 다음 사항들을 확인하세요.

 사전 연락은 필수
각 시설마다 운영 방식과 요금, 수용 가능한 동물의 종류와 크기가 다를 수 있으니 반드시 사전에 전화로 문의하세요.

 예방접종 확인
대부분의 위탁소에서는 예방접종 증명서를 요구하므로 미리 준비해두는 것이 좋습니다.

 건강상태 체크
위탁 전 우리 아이의 건강상태를 꼼꼼히 체크하고, 특이사항이 있다면 시설 측에 미리 알려주세요.

 필요한 물품 준비
평소 먹던 사료, 간식, 장난감 등을 챙겨주면 아이가 낯선 환경에 더 잘 적응할 수 있습니다.

더 자세한 정보가 필요하다면?

펫위탁소에 대해 더 궁금한 점이 있으시다면 서울시 동물보호과(☎ 02-2133-7656)로 문의하시면 자세한 안내를 받을 수 있습니다.

반려동물을 키우는 것은 큰 책임이 따르지만, 이렇게 필요할 때 도움받을 수 있는 제도가 마련되어 있다는 것은 참 든든한 일이에요. 우리 동네 펫위탁소를 미리 알아두고, 필요할 때 현명하게 활용해보세요! 


💡 Tip: 명절이나 휴가철에는 예약이 몰릴 수 있으니 가능한 한 빨리 예약하는 것을 추천드립니다!

댓글 쓰기

0 댓글

이 블로그 검색

이미지alt태그 입력